국제행사
문학축제
글 등록일2025.05.16
행사 개최지역아일랜드 더블린
2025 아일랜드 더블린 문학축제(ILFD) 참관
한국문학번역원(이하 번역원)은 지난 5월 16일(금)부터 25일(일)까지 10일간 열린 2025 아일랜드 더블린 문학축제(International Literature Festival Dublin)에 4일간 참관하였다. 1998년 시작하여 올해 27회째를 맞이한 축제는 약 130명의 국내외 작가와 예술가, 사상가 등을 초청하여 200여 개의 프로그램을 아일랜드 독자들에게 선보였다.
축제는 도심에 자리한 메리온 스퀘어(Merrion Square) 공원을 중심으로 개최되었으며, 문화와 문학, 출판, 환경, 인권 등 다양한 주제로 대담, 토론, 강의, 발표, 워크숍 등의 프로그램이 이어졌다. 특히 올해 축제에는 2005년 부커상 수상자인 아일랜드 작가 존 밴빌(John Banville), 2019년 플라네타상 수상자인 스페인 작가 하비에르 세르카스(Javier Cercas) 등 여러 저명 작가가 참가하였으며, 행사장에는 먹을거리를 즐길 수 있는 푸드 트럭과 테이블, 의자가 설치되어 더욱 흥겨운 분위기가 조성되었다.
사진 1, 2 (▲ 메인 행사장 전경)
한국에서는 번역원의 지원으로 2020년 『아몬드』와 2022년 『서른의 반격』으로 일본 서점대상 번역 부문을 수상한 손원평 작가와 2024년 『어서 오세요, 휴남동 서점입니다』로 같은 상을 받은 황보름 작가가 대담 프로그램에 참여했다. 두 작가의 도서는 축제 기간 중 도서 판매 부스에서 많은 관객들의 관심을 받았다.
사진 3(▲ 참여 작가 도서 판매 부스 내 진열된 손원평 작가 작품)
본격적인 프로그램이 시작된 16일(금)에는 아일랜드의 대문호 제임스 조이스(James Joyce)가 더블린 도심에 남긴 흔적을 걸어서 탐방해 보는 도보 프로그램 ‘Shaping the City: Joyce’s Dublin Artful Walking Tours‘가 관객들의 이목을 끌었다. 아일랜드 국립도서관, 율리시스 고서점, 스위니 약국, 더 베일리 펍 등 제임스 조이스의 작품에 언급되거나 자주 방문했던 장소 등을 탐방하며 그의 작품과 더블린의 연관성을 짚는 시간을 가졌다.
사진 4(▲ 제임스 조이스 더블린 문학 도보 투어 현장)
같은 날 진행된 낭독 프로그램 ’Hear Here! Live readings with the Gaiety School of Acting‘에서는 아일랜드에서 가장 권위 있는 연기 교육기관인 게이티 연기 학교 배우가 축제 참가 작가 숀 페이(Shon Faye)의 회고록 『Love in Exile』을 낭독했다. 사랑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을 재고하는 작품으로, 호소력 짙은 배우의 목소리를 통해 관객들에게 생생한 경험을 선사했다.
사진 5(▲ 낭독 프로그램 현장)
다음날 17일(토)에는 번역가 아남 자파르(Anam Zafar)가 이끄는 도서 번역 워크숍이 무료로 진행되었다. 참가자들은 프랑스어, 스페인어, 라틴어,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로 구성된 도서 제목의 사전적 의미를 독해한 후 표지 이미지를 참고해 본인만의 번역을 완성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. 소수정예로 구성된 워크숍을 통해 참가자들은 각자의 번역 과정에 대한 생각을 나누며 문학번역의 중요성에 대해 숙고할 수 있었다.
사진 6(▲ 도서 번역 워크숍 현장)
수많은 인파가 몰린 18일(일)에는 마블 코믹스에서 활동하며 『스파이더맨 2099』 시리즈로 유명해진 아일랜드 출신 만화가 윌 슬리니(Will Sliney)가 관객들과 함께 그림을 그리며 자신의 업과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을 설명하는 프로그램 ’The Ultimate Comic Creation Event‘가 진행되었다.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기획된 행사인 만큼 스파이더맨, 스펀지밥 등 인기 있는 캐릭터를 통해 그리기 기법을 전수하며 어린이 관객들의 열화와 같은 성원을 얻었다.
사진 7(▲ 만화 창작 프로그램 현장)
한국문학번역원은 유네스코 문학창의도시 중 하나인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개최된 국제 문학축제 벤치마킹을 통해 서울국제작가축제의 국제적 인지도를 제고하고, 더 많은 국내-해외 작가가 교류하는 동시에 관객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서울이 국제적 문학 거점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.